반응형

가끔 프로젝트를 생성하다보면 내가 원하지 않은 파일이 올라가있을때가 있다.

올라간것을 지우려면 직접 Github repository에 가서 변경하거나 귀찮게 작업을 해왔었다.

로컬에서 작업을 진행 후 push를 해서 반영가능하게 하는 작업을 아래와 같이 설명 한다.

아래는 bin폴더가 잘못 올라간 상황을 가정한다.

  1. git ignore 파일에 아래와 같이 추가, 작성한다.
bin/
  1. 아래와 같은 명령어를 실행한다.
git rm -r --cached bin

3. push 한다. 

git push 리모트-저장소이름 로컬-브렌치명


4. 리모트 저장소를 확인해보면 없어진것을 확인할 수 있다.

'Utils > Github'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hub] Projects 메뉴 활용  (0) 2021.01.10
[GitHub] 프로젝트 삭제 방법 - 웹  (0) 2016.09.15
반응형

 

프로젝트 관리 및 업무파악을 하기 위해서 해당 메뉴가이드를 작업하다 내용을 가져와보았다.

이전에 JIRA로 전체 업무에 적용하여 작업을 해왔는데 참여도가 굉장히 저조했다. 

 

JIRA 툴 자체는 좋지만 업무특성에 맞게 적용하는것도 중요하다 생각이 들었다.

기획 디자인 개발 프로세스가 흘러가지만 갑에게 늘 휘둘리는 회사라면 

이런 업무툴은 업무시간을 까먹는 불필요한 프로세스라고 생각한다. 

 

추가적으로 툴을 여러개 섞어쓰는걸 별로라고 생각하는데 

그 이유는 로그인 비용과 부수적이 변화에 대한 적용 비용이 든다 생각하기때문이다. 

최소화시킬수있다면 업무동선이 많이 줄거라 생각이 든다.

 

 

깃허브 Projects 메뉴가 있기에 해당 내용을 파악해보았다. 

해당 메뉴는 JIRA와 비슷한점들이 많았다. 

 

글은 

1. 관리자가 구성하는 화면

2. 사용자가 구성하는 화면 

순서로 작성하였다.


 

 

먼저 관리자가 적용할 수 있는 화면을 구성해보았다. 

 

1. 팀프로젝트가 있다면 가장 루트, 팀 레파지토리 화면에서 > Projects 메뉴에 들어간다.

2. New Project 버튼을 클릭한다.

 

 

3. Project를 생성화면으로써 알맞는 값들을 선택한다. 

Template는 일단 None 선택을 한다.

 

 

4. 기존에 Repository를 만들어 두었다면 해당 프로젝트를 검색해서

Project와 Repository를 연결시켜준다.

 

 

5. 연결을 시켰다면 Create Project 버튼을 클릭하고 아래와 같은 화면이 보인다.

업무 프로세스를 추가하는 Column을 추가하는 화면이다.

 

 

6. Issue생성 기준으로 해당 컬럼에 자동으로 배치시키를 룰을 적용시킬수 있다. 
- To Do : 새로운 Issue가 생성될 경우
- In progress: 기존 이슈를 재오픈 할 경우
(강제로 In pregress로 변경 가능)
- Done: Issue를 Done처리 할 경우

 

 

7. 총 3가지 단계로 구성해 보았다. 

할일 > 작업중 > 끝 

이렇게 해두면 사용자에게 내 할일을 생성하여 끝내는 프로세스까지 진행하도록 공유해주어야 한다.

사용자들은 일할 Repository에서 이슈생성해서 Done처리를 하면
팀 레파지토리> Projects에서 전체를 이슈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 추가적으로 연결된 프로젝트를 추가하려면 아래 사진 순서와 같이 작업하면 된다.

1. 팀 레파지토리 > Projects 화면에서 내가 만든 Project에서 아래 사진과 같이 클릭

 

 

2. Linked repositories 메뉴에서 Link a repositroy 클릭

 

 

3. 연결될 레파지토리를 검색해서 입력한다. ( 추가된 레파지토리는 만들어져있는 상태여야 한다. )

 


 

 

사용자 프로젝트 작업 가이드

 

1. 업무가 있는 프로젝트에서 Issues 메뉴로 들어온다.

2. New issue 버튼을 클릭한다.

 

3. New issue화면에서 제목, 내용 및 할당될사람, issue lables, 어떤 Projects에 붙일 것인지 등 내용을 채워 나간다.

Lables는 기본적으로 9가지가 있다. 해당내용은 커스텀이 가능하다. 관리자와 내용을 조율하여 관리한다.

milestone은 일정을 생성하여 적용할 수 있는 기능이다. 
조금 번거로워 보인다.

3-1. 내용을 선택하는 화면이다. (참고)

 

 

4. 생성하고나면 이렇게 완료된 화면이 나온다.

+ 이렇게 추가된 프로젝트는 팀 레파지토리에서 관리되는 칸반보드에서 모두 확인이 가능하다.

 

 

+ Done처리 방법

1. 생성된 Issue에 들어가서 Close issue 버튼을 클릭한다.

 

2. 칸반보드에서 내용 확인

 

 

+ In progress 처리 방법

해당 issue화면에서 프로세스 상태값을 변경한다. 
자동으로 할당도되는데 
관리자와 해당 룰을 설명 받은뒤 사용자들에게 공유하면 될 것으로 보인다. 

 

'Utils > Github'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hub] Git ignore 등록 후 Remote 동기화하기  (0) 2021.01.26
[GitHub] 프로젝트 삭제 방법 - 웹  (0) 2016.09.15
반응형



1. 깃허브 메인 페이지에 접속 한다.



2. 삭제 할 프로젝트 repository를 클릭한다.





3. 깃허브 메뉴 툴바에 있는 Settings 항목을 클릭하고

4. Delete this repository를 클릭하고 해당 프로젝트 이름을 다시 입력하면 

삭제할 프로젝트가 삭제된다.

'Utils > Github'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hub] Git ignore 등록 후 Remote 동기화하기  (0) 2021.01.26
[Github] Projects 메뉴 활용  (0) 2021.01.1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