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일단 문제사항으로는.

* mac 환경에서 sublime text3 에서 connection timeout 이 계속 발생.

- 해결을 하기위해 Desktop/.ssh  폴더안의 key값을 변경을 시도.

- 서버의  authorize_key(?) 를 변경시도함.

- 그러자 mac Terminal에서는 되던 ssh도 먹통. 


초기 증상에서는 단순히 sublime Text3에서 오류라고 생각 되었지만 해결하고나니까 ssh관련 key의 문제가 꼬여있었던것으로 생각이 된다.

현재는 정상적으로 sublime text3 , terminal ssh connection이 이루어지고 있다.




위의 문제상황에서 가장 문제가 되던 부분은 

변경을 시도하다가 authorize_key를 건들여 버렸다는 것이다. 


public key와 private key가 일치하도록 하는 부분인데 

그곳을 바꿔버렸으니 모든게 먹통이 되버렸다고 한다 푸헤헤헤헤헤..






그래서 해결과정을 정리해보려고한다.

(= 루트 디바이스를 재 부여하는 방법),    (= 백업 디바이스를 루트 디바이스로 설정 하는 방법)



1. 자신의 aws console로 접속을 한다.


2. 일단 인스턴트를 정지한다. 

(     - 임시 데이터가 모두 날라가니 주의 바람. 종료가 아닌 중지를 해야 한다.  

-탄력적 ip를 설정하지 않았다면 ip도 변경될 수 있다.)

위 사진에서 stop 노랑 상태로 둔다.


3. 하나밖에 없다면 자신의 볼륨 유형을 그대로 두도록 한다. (1~3번 내용은 화면을 일단 숙지하고 확인하는 작업이다.)


4. 다시 인스턴스 메뉴로가서 새로운 인스턴스를 생성한다.

4-1. 생성할때 next로 넘기다보면 pem관련된 항목이 존재한다.

4-2. 인스턴스를 생성할때 기존의 pem키를 그대로 쓰려면 기존 키로 그대로 설정하면 된다. 


5. 생성한 뒤에 새로생성한 인스턴스를 중지상태로 설정한다.


6. 기존에 쓰던 볼륨을 연결 해제한다.

아래 사진에서 

위의 볼륨이 새로 생성된 볼륨이고

아래의 볼륨의 기존 볼륨이다.

모두 해제된 상태로 만들어 버리면 된다.

7. 기존 볼륨을 새 인스턴스에 할당을 한다.( 6~7번 문항이 키를 새로 세팅 하는 작업)

오른쪽 버튼을 새로 할당된 볼륨에게 올려두면 작업이 가능하다.


8. 이후에 새로 생성한 인스턴스를 시작합니다.

9. 확인을 하면 제대로 접속이 되는걸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자세한 설명은 없지만  AWS자체의 인터페이스는 각 메뉴에 제한된 기능을 제공하므로

개발자또는 사용자라면 충분히 어떤메뉴가 있는지 확인해볼 수 있을 것이다.




다음에디터라그런가 사진을 편집하기가 상당히 어렵다. 

미리 꾸미고 올리도록 해야겠다.

'Cloud > AWS-Resources'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Elastic IP  (0) 2017.11.26

+ Recent posts